블로그 분류

비만도 계산기 BMI 체질량 지수 평균 체지방률 계산법

작성자 정보

  • 푸하하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비만이란 과체중과는 다른 개념이에요. 과체중이란 우리 몸에 적정무게보다 지나치게 많은 살이 있다는 의미고, 비만이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수준까지 살이 찐 상태를 말해요. 최근 코로나19 확산 이후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이어트 시장 역시 활기를 띠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이제부터 우리는 어떻게 먹어야 할까요? 우선 체지방률을 알아야겠죠?

콘텐츠

Toggle

체지방량이란

체지방량은 몸 안에 있는 지방의 양을 말해요. 즉,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합이죠. 이는 우리 몸의 무게 중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로서 체지방률이라고도 해요. 여성의 경우 25% 미만, 남성의 경우 20% 미만이면 건강한 상태라고 해요. 하지만 임신부나 수유부, 노인 등 특정 집단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이 이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정상범위에 있는지 체크하는 것이 좋아요.
비만도 계산기

체질량지수(BMI)란

체질량지수는 인간의 체중과 키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키(cm)의 제곱에 대한 체중(kg)을 나눈 값이에요. 즉, 체중(kg) ÷ (키(m))^2 로 계산하면 돼요. 예를 들어, 160cm 키에 50kg의 몸무게라면 50 ÷ (1.6)^2 = 19.5 가 나오죠. 이때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2.9 사이면 정상, 23∼24.9 사이면 과체중,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됩니다.

그렇다면 평균 체지방률은?

대한비만학회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체지방률은 성인 남성 21.9%, 성인 여성 24.7% 입니다. 즉, 20% 이상이면 비만이고, 25% 이상이면 고도 비만이라고 해요. 이처럼 한국인의 비만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3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하니 주의해야겠죠?
비만도 계산기

비만도 계산기 QnA

Q1. 체지방량과 체질량지수(BMI)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1. 체지방량은 몸 안에 있는 지방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체질량지수는 체중과 키 사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Q2. 건강한 체지방률은 얼마인가요?

A2. 여성의 경우 25% 미만, 남성의 경우 20% 미만일 때 건강한 상태로 간주됩니다.

Q3. BMI를 계산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A3. BMI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몸무게 50kg, 키 160cm라면 (50 ÷ (1.6)^2) = 19.5 가 됩니다.

Q4. 한국인의 평균 체지방률과 비만율은 얼마인가요?

A4. 한국인 성인 남성의 평균 체지방률은 21.9%, 성인 여성의 평균 체지방률은 24.7%입니다.

Q5. 한국에서 비만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A5. 한국에서 비만율이 증가하는 이유로는 혼잡한 도시 생활, 불규칙한 식습관, 과다한 포화 지방 및 당류 섭취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쿠팡프레쉬


특가 할인!????

오늘은 비만과 관련된 지표인 체지방량과 체질량지수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두 지표 모두 계산 방법이 간단하니 직접 알아보고 건강한 삶을 살아보세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9,342 / 1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